물리 전공서적 추천
1. 고전역학
1) Mechanics 3rd edition - Landau & Lifshitz: 이 책은 모든 이론물리학자들에게 물어봐도 명저라는 답이 나올 정도로 각광받는 책입니다. 책을 보면 굉장히 Compact한데 의외로 들어있어야 할껀 대부분 들어가 있습니다. 세세한 Skill 을 익히기엔 조금 부족함이 있습니다만, Lagrangian Mechanics의 진정한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책입니다. 이론을 전공하실꺼라면 꼭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.
2) Classical Mechanics 3rd edition - Goldstein
: 다른 수식어가 필요 없이 고전역학을 진정으로 마스터하고 싶으신 분은 이 책을 읽으면 됩니다. 진정한 고전역학 책입니다.
2. 양자역학
1)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 - Ashok Das: Shankar의 요약판 격인 책입니다. 수학적 엄밀함을 완벽히 갖춘 몇 개 되지 않는 양자역학 서적인데 수학 베이스가 조금 있는 상태에서의 양자 입문서로는 가장 괜찮은 것 같습니다.
2) Modern Quantum Mechacnis - Sakurai
: 대학원 양자역학의 정석적인 교재입니다. 하지만 내용은 정석적이지 않은데 이미 양자의 맛을 조금 본 학생이 대상이며 그 전까지 문제푸는 것에 열중했다면 Sakurai에서는 양자역학의 직관을 가르쳐 줍니다. 책을 읽다보면 양자가 정리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.
3. 고전장이론
1)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- Landau & Lifshitz: 란다우 시리즈 제 2권입니다. 고전장이론만 다룬 책이 흔치도 않은 데다가 이 책은 장론으로 역학부터 상대론, 전자기 까지 매우 잘 정리해놨습니다. 중력도 정리해놨는데 아쉬운 점은 수학적 엄밀성이 없다시피해서 개론서의 느낌으로 보셔야 할 듯 합니다.
4. 일반상대성이론
1) General Relativity - Harvey Reall: 책이 아니라 Cambridge 강의노트입니다만, 웬만한 책보다 더 좋기 때문에 목록에 넣었습니다. 어느 정도의 미분기하가 되어있는 학생에게 일반상대론 입문용으로는 이만한 책이 없다고 봅니다. 꼭 읽어보세요.
2) Relativity on Curved Manifolds - Felice & Clarke
: 상당히 찾기 힘든 책입니다만, 엄밀하게 일반상대론을 마스터 하고 싶다면 이 책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. 잘 알려진 엄밀한 책은 Wald의 General Relativity입니다만, 이 책에 비하면 그저 교양서적에 불과할 정도 입니다. Geometry에 관심이 많은 분은 이 책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.
5. 양자장이론
1) Quantum Field Theory - Ryder: 라이더의 양자장론은 고전입니다만, 입문용으로는 아주 적절합니다. 특히 앞부분에서의 Dirac Equation을 유도하는 부분은 그 어떤 책보다 괜찮다고 생각합니다. 다만, 뒤로 갈수록 해괴해지는 Notation 덕에 읽기 싫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.
2) 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- Peskin
: 이 책은 개념서라기보다는 실험 지침서와 같은 느낌을 줍니다. 방대한 양의 계산에 비해 물리학적 직관은 그리 충분치 않습니다. 하지만 장론에 필요한 대부분의 계산의 기초를 포함하므로 현상론을 전공하고 싶다면 꼭 일독해야 하는 도서입니다.
3) A Moder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- Maggiore
: 장론 책 치고는 아주 얇습니다. 하지만 들어있을 것은 모조리 들어있습니다. 이 책은 Peskin과 성향이 정 반대 입니다. 계산을 최소화하고 직관으로 꽉꽉 채웠습니다. 따라서 Peskin을 보다가 회의감이 들 때쯤 이 책을 보면 아주 잘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.
4) Introduction to Gauge Field Theory - Bailin & Love
: Path Integral로 장론을 아주 단순하고 간단하게 접근하여 Advanced Topic까지 다루는 이상한 책입니다. 계산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구렁이 담 넘듯이 넘어가는데 논리가 너무나 재밌습니다. 또한 개인적으로 Noether Theorem을 모든 책 중에 가장 잘 설명한 것 같습니다. 어느 정도 QFT 지식과 계산이 쌓였다면 한 번 읽어보면 재밌게 공부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.
6. 통계학
1) Statistics and Analysis of Scientific Data - Bonamente: 갑자기 뜬금없이 통계학 책을 소개하게 되었는데, 워낙 대단하고 재미있는 책이라 이렇게 넣게 되었습니다. 이 책은 놀랍게도 Graduate Text in Physics 시리즈의 일환이며 덕택에 실제 연구에서 수행되는 통계학을 수학적으로 꽤나 엄밀하게 다루게 됩니다. 현상론이나 입자실험 하시는 분들은 꼭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.
댓글
댓글 쓰기